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원사업 서류 쓸 때 자주 하는 실수 TOP 5

by 대왕오리_ 2025. 3. 22.
반응형

📝 서류 잘 쓰고도 떨어지는 이유, 여기 있었어요

처음 도전하는 지원사업이라면 서류 쓰는 것만으로도 큰일이죠.
기획서도 써야 하고, 예산도 짜야 하고, 때로는 자기소개도 해야 하니까요.
그런데 진짜 문제는, 실수는 항상 내가 모르게 나온다는 것이에요.

열심히 썼는데도 결과가 좋지 않았다면, 혹시 아래와 같은 부분에서 아쉬움이 남았을 수도 있어요.

1️⃣ 말은 많은데, 내용은 없는 경우

“열심히 하겠습니다”, “창의적인 방향으로 접근하겠습니다” 같은 말, 지원서엔 자주 등장하지만 사실상 설득력이 거의 없어요.
내용이 아니라 '의욕'만 강조되면,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흐릿한 인상만 남기게 돼요.

 

✔ 팁: 추상적인 표현 대신, ‘언제까지’, ‘무엇을’, ‘어떻게’ 할지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세요. 수치나 계획이 포함되면 훨씬 신뢰도가 올라갑니다.

 

2️⃣ 예산서와 기획안이 따로 노는 구조

내용은 멋진데, 예산을 보면 “이걸로 어떻게 하지?” 싶은 경우가 의외로 많아요.
계획과 숫자가 연결되지 않으면, 전체 설계가 신빙성을 잃습니다.

 

✔ 팁: 예산은 기획서의 '실행력'을 뒷받침하는 도구예요.
어떤 활동에 얼마가 필요한지, 각 항목이 사업 내용과 어떻게 이어지는지 정리해 주세요.

3️⃣ 내 이야기 없이 형식만 채운 지원서

정해진 양식에 맞춰 빠르게 작성하다 보면 ‘나’에 대한 정보는 거의 빠지고, 어디서 본 듯한 문장들만 남는 경우도 있어요.
심사위원들은 그런 서류를 하루에도 수십 개씩 보게 됩니다.

 

✔ 팁: 내가 어떤 사람인지, 왜 이 지원이 나에게 필요했는지를 한두 문장이라도 녹여보세요. 짧아도 이야기가 담긴 지원서는 기억에 남을 확률이 높아요.

 

4️⃣ 하고 싶은 걸 다 넣어서 오히려 흐려진 기획

의욕이 넘쳐서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겠다고 쓰다 보면 오히려 핵심이 보이지 않는 지원서가 되기 쉬워요.

 

✔ 팁: 제한된 예산과 기간 안에서, 한 가지 목적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구조로 정리해 보세요.
작지만 명확한 계획이 더 매력적일 수 있어요.

 

5️⃣ 시간에 쫓겨 급하게 마무리

마감 하루 전날 밤에 허겁지겁 제출한 서류는, 파일이 빠지거나, 맞춤법 실수가 그대로 들어가 있거나, 중복 문장이 눈에 띄기도 해요.

 

✔ 팁: 지원서 초안은 마감 일주일 전에 써놓고, 2~3일 정도는 ‘다듬는 시간’으로 확보해 보세요. 가능하다면 다른 사람에게 한번 읽어달라고 하는 것도 좋아요.

🐥 대왕오리의 한마디

지원사업 서류는 ‘정답’이 있는 건 아니지만, 탈락 이유는 대부분 아주 기본적인 실수에서 시작돼요.
그래서 조금만 조심하면, 누구나 가능성을 훨씬 높일 수 있어요.

 

글을 읽으면서 “어? 나 이거 했는데…” 싶은 부분이 있었다면, 다음 기회에는 꼭 수정해서 한 번 더 도전해보세요!

대왕오리는 언제나 응원하고 있어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