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리랜서와 개인사업자, 뭐가 다르고 뭘 선택해야 할까?
‘나도 이제 일은 하는데… 프리랜서 맞지?’
‘사업자 등록하라는 말도 있던데, 꼭 해야 돼?’
처음 일을 시작하면 누구나 한번쯤 헷갈리는 질문!
오늘은 프리랜서와 개인사업자의 차이부터
어떤 상황에 어떤 선택이 더 유리한지까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1. 프리랜서 = 개인사업자?
프리랜서는 ‘개념’이고,
개인사업자는 ‘신고된 사업 형태’라고 보면 돼요.
구분 | 프리랜서 | 개인사업자 |
---|---|---|
의미 | 특정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일하는 사람 | 국세청에 사업자 등록을 한 사람 |
법적 형태 | 사업자 등록 전에는 ‘기타소득’ 또는 ‘근로소득’ 처리 | 사업자 등록으로 ‘사업소득’으로 처리됨 |
세금 신고 | 주로 연말정산 X,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 부가세 + 종합소득세 신고 |
즉, 프리랜서로 일하다가 일정 금액 이상 벌거나 사업적으로 확장되면 개인사업자 등록을 고려하는 거예요!
✅ 2. 프리랜서로 일할 땐 언제까지 괜찮을까?
연 3,300만 원 이하의 수익이라면
사업자 등록 없이 프리랜서(기타소득/사업소득자)로 일해도 괜찮아요.
단, 다음에 해당되면 개인사업자 등록을 권장해요:
- 거래처에서 세금계산서(사업자번호) 요구할 때
- 매출이 3,300만 원을 넘거나 정기적인 수익이 발생할 때
- 정부지원사업에 신청하려고 할 때 (대부분 ‘사업자’ 요건 있음)
- 직장 건강보험료가 너무 많이 나올 때 → 지역가입자로 전환 가능
✅ 3. 개인사업자로 전환하면 생기는 변화
장점도, 신경 써야 할 점도 있어요!
✔ 장점
- 부가세 환급 가능 (장비 구매 등)
- 사업자 전용 계좌·카드 사용으로 정산 편리
- 정부 지원사업 신청 가능
- 세금공제 범위 넓어짐 (경비처리 가능)
❗ 주의할 점
- 부가세 신고 의무 (1년에 2번)
- 사업자 주소, 업종 코드 등 꼼꼼히 설정해야 함
- 정산·회계 관리 필요 (초기엔 조금 번거로움)
🐥 대왕오리의 요약 정리
상황 | 추천 형태 |
---|---|
처음 소규모 외주만 받을 때 | 프리랜서 (무등록) 가능 |
거래처에서 세금계산서 요구 | 개인사업자 등록 |
정부지원사업, 바우처 신청 | 개인사업자 필수 |
연매출 3,300만 원 초과 | 개인사업자 권장 |
여러 플랫폼 통해 다수 매출 발생 | 개인사업자 전환 고려 |
💬 마무리 한마디
프리랜서와 개인사업자, 정답은 없으나 ‘나의 상황’에 따라 맞추는 게 중요해요.
처음엔 프리랜서로 시작해서,
수입이 일정 수준을 넘거나 기회가 생기면
개인사업자로 전환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루트입니다!
혹시 지금 상황이 애매하다면?
댓글이나 메시지로 질문 남겨주세요.
대왕오리가 함께 고민해드릴게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