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

부가세 신고 처음인데 뭐부터 해야 하나요? (1인 사업자용 가이드) 📦 “부가세 신고 대상자입니다” 문자가 왔다면1인 사업자로 등록한 지 얼마 안 됐다면, 처음 받는 국세청 문자에 당황할 수 있어요.“부가가치세 신고 대상자입니다. 1월 또는 7월 말까지 신고해 주세요.” 도대체 뭘, 어디에, 어떻게 신고하라는 걸까요?오늘은 부가세 신고 처음 해보는 사람을 위한 아주 쉬운 가이드를 준비했어요 🦆  🗓 부가세 신고는 언제 하는 거예요?부가가치세(VAT)는 1년에 두 번 신고해야 해요.1기: 1~6월 매출 → 7월 1일~25일 신고2기: 7~12월 매출 → 다음 해 1월 1일~25일 신고✔ 일반과세자는 매번 신고✔ 간이과세자는 1년에 한 번(1월만) 신고 → 단, 예정고지서가 따로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꼭 문자 확인!  🧾 그럼 ‘부가세’는 뭘 신고하는 거예요?부가세는.. 2025. 3. 24.
세금이 뭐길래… 내 통장에서 자꾸 빠져나가죠? “세금은 왜 내야 해요?” 사실 이 질문, 학교에서도 진지하게 알려준 적 없어요.‘나라 살림에 필요한 돈’이라는 말은 들었지만, 내 통장에서 빠져나가는 돈이라는 사실은 직접 돈을 벌기 전엔 실감이 안 나죠. 오늘은 세금에 대해어렵고 딱딱한 용어 없이, 진짜 우리 삶에 연결된 이야기로 풀어볼게요. 💸 세금은 어디에 쓰이는 걸까?가장 많이 쓰이는 곳은국민건강보험, 도로·전기·치안·소방, 공공의료, 교육 같은 것들이에요.우리가 매일 누리는 것들 대부분은, 사실 세금이 만들어낸 시스템이에요. ✔ 병원 진료비가 낮은 이유? → 건강보험료 + 국고지원✔ 초등학교 무상교육? → 교육세✔ 비 올 때 물 잘 빠지는 도로? → 지자체 예산✔ 폐암 환자 지원금? → 국가보조금 (세금 기반) 그렇기 때문에 세금은 단순히 “.. 2025. 3. 24.
클라이언트와 계약서 없이 일해도 될까? 실제 리스크는? 🧐 그냥 믿고 일해도 되지 않을까?처음엔 서로 좋게 시작했어요. “계약서는 나중에 써요~”“믿고 맡겨요~”근데 일이 끝나갈수록 연락이 느려지고,돈 얘기 꺼내기가 눈치 보이기 시작하고,결국은 “입금이 아직 안 됐네요…”라는 말만 들었을 때.그제서야 생각이 들죠. “계약서라도 써둘걸…”  📌 계약서 없이 일하면 생길 수 있는 문제들1. 돈 못 받는 상황이 생긴다입금 약속 날짜가 없으면, “아직 정산 안 됐어요”라는 말에 속수무책이에요.심지어 ‘검수 후 입금’이었는데, 검수를 아예 안 해주는 경우도 있어요.2. 요구사항이 계속 바뀐다원래 3페이지였던 작업이, 어느 순간 5페이지로 늘어나고,“이건 추가요금이 있어요”라고 말하면, “처음에 그런 말 없었잖아요?”작업 범위가 명확하지 않으면, 계속 끌려갈 수밖에.. 2025. 3. 24.